Backdrop

프로그래머스 ▸ 코딩 기초 트레이닝

왼쪽 오른쪽
0

문제 설명

문자열 리스트 str_list에는 "u", "d", "l", "r" 네 개의 문자열이 여러 개 저장되어 있습니다. str_list에서 "l"과 "r" 중 먼저 나오는 문자열이 "l"이라면 해당 문자열을 기준으로 왼쪽에 있는 문자열들을 순서대로 담은 리스트를, 먼저 나오는 문자열이 "r"이라면 해당 문자열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문자열들을 순서대로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l"이나 "r"이 없다면 빈 리스트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 1 ≤ str_list의 길이 ≤ 20
  • str_list는 "u", "d", "l", "r" 네 개의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tr_listresult
["u", "u", "l", "r"]["u", "u"]
["l"][]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r"보다 "l"이 먼저 나왔기 때문에 "l"의 왼쪽에 있는 문자열들을 담은 리스트인 ["u", "u"]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l"의 왼쪽에 문자열이 없기 때문에 빈 리스트를 return합니다.

풀이

이론

Array.prototype.slice()

slice() 메서드는 어떤 배열의 begin 부터 end 까지(end 미포함)에 대한 얕은 복사본을 새로운 배열 객체로 반환해요. 원본 배열은 바뀌지 않아요.

arr.slice([begin[, end]])
  • begin 또는 end 가 음수인 경우, 배열의 끝에서부터의 길이를 나타내요.
  • begin 이 생략된 경우, 0 번째 인덱스부터 추출해요.
  • end 가 생략된 경우, 배열의 끝까지 추출해요.
const animals = ['ant', 'bison', 'camel',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 Expected output: Array ["camel",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4));
// Expected output: Array ["camel", "duck"]
 
console.log(animals.slice(1, 5));
// Expected output: Array ["bison", "camel",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 Expected output: Array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1));
// Expected output: Array ["camel", "duck"]
 
console.log(animals.slice());
// Expected output: Array ["ant", "bison", "camel", "duck", "elephant"]

코드

function solution(str_list) {
  for (let i = 0; i < str_list.length; i++) {
    if (str_list[i] === 'l') {
      return str_list.slice(0, i);
    }
    if (str_list[i] === 'r') {
      return str_list.slice(i + 1);
    }
  }
 
  return [];
}